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아리랑, 식민지 현실을 적나라게 보여준 영화

by 역사영화 2025. 9. 7.

영화 아리랑 줄거리

1926년 제작된 나운규의 **<아리랑>**은 한국 영화사에서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꼽히며, 단순한 오락물이 아니라 식민지 현실을 반영한 민족 영화로 평가받습니다. 주인공은 병약한 청년 **영진(나운규)**입니다. 그는 학생 신분으로 일제 경찰에게 고문을 당한 뒤 정신적으로 충격을 입어 고향으로 내려옵니다. 가족과 함께 살며 병약한 몸과 불안정한 정신을 안고 살아가지만, 그의 고통은 단순히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현실과 맞닿아 있습니다. 영진은 고향에서 여동생과 아버지를 의지하며 살아가지만, 마을에는 여전히 조선인을 억압하는 일본 경찰과 부역자들이 있습니다. 여동생은 친일 관리나 악덕 지주들의 눈에 끊임없이 위협을 당하고, 영진은 정신적 혼란 속에서도 그녀를 지키려 애씁니다. 어느 날 여동생이 위험에 처하게 되자, 영진은 분노를 억누르지 못하고 마침내 폭발합니다. 그는 주변 사람을 공격하고, 결국 비극적인 결말로 치닫습니다. 이 영화는 당시 무성영화였기에 대사 대신 자막과 배우들의 표정, 몸짓으로 감정을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관객들은 영진의 고통을 개인적인 비극으로만 보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식민지 조선 전체가 겪던 고통이었고, 억눌린 민족 감정을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 영화의 마지막에 흘러나오는 민요 **‘아리랑’**은 민중의 눈물과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 잡으며, 영화의 메시지를 극대화했습니다. 2003년 임권택 감독은 이 작품을 직접적으로 리메이크하지는 않았지만, 영화사적 의미와 민족적 울림을 기리며 **<아리랑>**의 정신을 계승하는 형식으로 재조명했습니다. 따라서 <아리랑>은 단순히 하나의 영화 줄거리가 아니라, 시대를 넘어 한국인의 정체성과 저항을 대변하는 상징적 작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아리랑
아리랑

문화의 자유를 빼앗은 시기

1920년대 조선은 일제강점기 가운데서도 문화통치 시기로 불렸습니다. 3·1 운동 이후 일본은 이전의 무단 통치를 완화하는 듯했지만, 실제로는 식민지 지배를 더욱 교묘하게 유지하며 언론·출판·영화를 철저히 검열했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는 동시에 한국인의 민족의식이 점차 고양되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학생운동, 농민운동, 노동운동이 확산되었고, 문학과 예술에서도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려는 움직임이 활발했습니다. 바로 이 시기에 등장한 영화 **<아리랑>**은 단순한 오락물이 아니라 민족의 설움을 은유적으로 담은 작품이었습니다. 당시 영화 검열은 매우 엄격했기 때문에, 제작자들은 노골적인 항일 메시지를 담을 수 없었습니다. 나운규는 이를 우회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정신병에 시달리는 주인공이라는 설정을 사용했습니다. 영진의 광기와 분노는 곧 식민지 현실에 대한 민중의 억눌린 감정을 상징했고, 여동생을 지키려다 폭발하는 장면은 일제에 대한 저항을 은유했습니다. 또한 영화의 제목이자 마지막에 등장하는 민요 **‘아리랑’**은 단순한 배경음악이 아니라, 당시 조선 민중의 집단적 슬픔과 분노를 대변하는 노래였습니다. 아리랑은 억눌린 시대를 살던 사람들에게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서로를 위로하는 상징적 매개체였습니다. 영화가 개봉했을 때 관객들은 영진의 비극적 삶을 단순한 인물의 이야기로 보지 않고, 자신들의 현실로 받아들였습니다. 이로 인해 <아리랑>은 민족 영화의 효시로 불리며, 한국 영화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울분의 영화

영화 **<아리랑>**을 접하고 나면, 단순히 오래된 무성영화가 아니라 한 민족의 집단적 울분과 저항을 담아낸 작품이라는 사실에 깊은 울림을 받게 됩니다. 대사가 없는 무성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주인공 영진의 고통스러운 표정과 몸짓,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민요 ‘아리랑’은 그 어떤 대사보다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저는 이 작품을 통해 “예술이 어떻게 시대를 증언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았습니다. 억압된 현실 속에서 직접적인 항일 메시지를 담을 수 없었던 영화인은, 은유와 상징을 통해 당대 민중에게 공감과 연대를 선사했습니다. 주인공의 광기는 단순한 정신적 질환이 아니라, 억압된 시대를 살던 모든 조선인의 울부짖음이었습니다. 영화를 본 뒤 가장 마음에 남은 점은, 예술의 힘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 민족을 일깨울 수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영화 <아리랑>은 기술적으로 세련된 작품은 아니었지만, 당대 조선인들에게는 강렬한 메시지를 전했고, 민족 정체성을 지키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저는 이 점에서 영화가 단순히 흥미를 주는 매체가 아니라, 사회적 기억과 저항의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2003년 임권택 감독이 다시 ‘아리랑’을 소환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 생각합니다. 그것은 단순히 옛 영화를 되살리려는 시도가 아니라, 21세기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우리가 기억해야 할 민족의 아픔과 정체성을 일깨우려는 시도였습니다. 저는 **<아리랑>** 통해, 예술이 어떻게 억압된 현실에서 목소리를 잃지 않고 민중의 저항을 기록할 있는지를 배웠습니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문화적 풍요가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니라, 당시 예술가들과 민중이 함께 쌓아 올린 작은 외침들의 결실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실감했습니다.